본문 바로가기
경제

아크마인드 웹 기반 로봇OS 생태계 구축

by 천찐 2024. 4. 24.

 

아크마인드 웹기반 로봇 OS 로봇생태계 구축

네이버가 세계 최초로 웹 기반 로봇 OS를 공개할 예정입니다. 웹 기반으로 결제, 얼굴인식, 주문 등 로봇 서비스를 개발하거나, 로봇 제어 기능까지 이용할 수 있게 됩니다. 네이버는 누구나 손쉽게 로봇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로봇 플랫폼 개발을 통해 미래의 로봇 생태계를 구현하겠다는 목표를 내보였습니다. 오늘은 네이버가 개발한 아크마인드가 무엇인지, 웹기반 로봇 OS가 기존의 로봇제어기술과 다르게 어떤 특성이 있어서, 로봇 생태계 구축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아크마인드 웹 기반 로봇OS 생태계 구축
아크마인드 웹기반 로봇 OS 생태계 구축

아크마인드 웹기반 로봇 OS

네이버가 개발한 아크마인드는 웹에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로봇 서비스로 연결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로봇 OS입니다. 네이버 클라우드와 네이버랩스가 협력해 구축하였으며, 웹 기술 기반이라 웹플랫폼 개발 환경 그대로 로봇 서비스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입니다. 네이버는 먼저 1784(네이버판교 2 사옥)에 있는 로봇 '루키'에 적용할 예정이며, 추후 오픈 플랫폼 형태로 다양한 파트너로 확장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아크마인드는 인공지능 언어모델로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대규모 텍스트 데이터를 학습하여 문맥을 이해하고 자연스러운 텍스트를 생성할 수 있으며, 다양한 언어 간의 번역, 요약 기능 외에 텍스트 내의 긍정적, 부정적인 감성을 분석할 수 있으며, 텍스트 내의 주요 주체를 추출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아크마인드의 기능을 바탕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예로 자동 응답 시스템, 챗봇, 음성 인식 등입니다. 아크마인드가 기존의 소프트웨어 다른 점은 OS입니다. OS는 하드웨어를 구동할 수 있는 부팅기능과 펌웨어 등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기존 소프트웨어 다릅니다. 예약, 결제, 지도, 얼굴인식 등 웹에서 사용하는 기술을 조합하여 로봇에 설치하면 기존의 배달로봇이 얼굴인식 결제와 같은 새로운 기능을 수행하는 방식입니다. 스마트폰 앱처럼 무선업데이트(OTA) 방식으로 새로운 서비스와 기능을 업그레이드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OS인 만큼 다양한 종류의 로봇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기존 로봇 소프트웨어 개발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오픈소스 프레임워크인 로보틱스 OS(ROS)와 통신할 수 있는 전용 응용프로그램인터페이스(API)도 준비했습니다.

아크마인드 로봇생태계 구축 전망

현재 웹 기반의 로봇 OS를 제공하는 곳은 네이버가 유일합니다. 가장 범용적인 로봇 OS로 알려진 ROS는 기본 로봇 개발에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로 아크마인드는 기존 OS와는 구분된다고 합니다. 네이버는 우선 개발한 로봇에 아크마인드를 적용하여 배달로봇과 같은 이동형 서비스 로봇을 중심으로 파트너를 확장하는 것이 목표이며, 스마트시티 구축에 나선 사우디아라비아에 서드 파티 로봇에 아크마인드를 탑재하는 방안도 구상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아크마인드를 활용한 차세대 로봇 플랫폼도 구축할 예정이라 합니다. 네이버는 삼성전자와 지난해 11월 비공개 MOU를 맺은 뒤 로봇 플랫폼 구축에 협력해 왔습니다. 삼성전자 자체 시스템 온칩(SoC) 엑시노스와 이미지 센서등의 반도체 설루션과 네이버의 OS설루션을 하나의 플랫폼에 통합 구현해 내는 게 목표입니다. 네이버는 이처럼 로봇 시장에서 안드로이드 OS와 같은 개방형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 목표로 기존 생태계를 잘 이어서 확장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QY리서치에 따르면 전 세계 로봇 운영체제(ROS) 시장 규모는 2022년부터 2028년까지 11.58%의 CAGR(연평균성장률)를 기록하고, 2028년에는 9억 9191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특히 로봇 산업에서는 소프트웨어의 의존도가 크며, 전 세계 서비스 로봇 시장 규모는 2021년 362억 달러로 예측되는데 같은 해 로봇 소프트웨어 시장 규모는 146억 달러(IMRAC)로 절반 수준에 달했습니다. 네이버는 특정 OS에 구애받지 않고, 웹 생태계에서 로봇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전 세계가 웹 개발자 누구나 로봇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음을 강조합니다. 로봇 소프트웨어 시장 전망은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과 서비스 로봇 분야의 점진적 성장으로 미루어보아 더욱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기에, 네이버의 아크마인드 또한 세계의 로봇 소프트웨어 시장에서 함께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앞으로의 기업들은 로봇 소프트웨어 시장의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로봇 대중화 서비스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